(25)天雷无妄卦~2
初九는 无妄이니 往에 吉하리라.
초구(初九)는 무망(无妄)이니, 감에 길(吉)하리라.
【本義】 以剛在內하여 誠之主也니 如是而往이면 其吉可知라
故其象占如此하니라.
강(剛)으로서 안에 있어 성실(誠實)의 주체이니, 이와 같이 하여 가면 길(吉)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상(象)과 점(占)이 이와 같은 것이다.
象曰 无妄之往은 得志也리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무망(无妄)으로 감은 뜻을 얻으리라.”
【傳】 以无妄而往이면 无不得其志也라 蓋誠之於物에 无不能動하니
以之修身則身正하고 以之治事則事得其理하고 以之臨人則人感而化하여
无所往而不得其志也라.
무망(无妄)으로 가면 뜻을 얻지 못함이 없을 것이다. 성실(誠實)함은 물건에
있어서 감동시키지 못함이 없으니, 이로써 몸을 닦으면 몸이 바루어지고,
이로써 일을 다스리면 일이 이치를 얻고, 이로써 사람을 대하면 사람이 감동하고
교화되어 가는 곳마다 뜻을 얻지 못함이 없을 것이다.
六二는 不耕하여 穫하며 不?하여 ?니 則利有攸往하니라.
육이(六二)는 밭갈지 않고서도 수확하며 1년된 밭을 만들지 않고서도 3년된 밭이
되니, 갈 바를 둠이 이롭다
【本義】 柔順中正하여 因時順理而无私意期望之心이라
故有不耕穫不??之象하니 言其无所爲於前하고 无所冀於後也라 占者如是면
則利有所往矣리라.
유순(柔順)하고 중정(中正)하여 때에 따르고 이치에 순응해서 사심(私心)으로
기대하고 바라는 마음이 없다. 그러므로 밭갈거나 수확하지 않으며 1년된 밭과
3년된 밭을 만들지 않는 상(象)이 있으니, 앞에 하는 바가 없고 뒤에 기대하는
바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점치는 이가 이와 같이 하면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울 것이다.
象曰 不耕穫은 未富也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불경확(不耕穫)’은 부(富)하게 여겨서 탐하여 하는
것이 아니다.”
【本義】 富는 如非富天下之富니 言非計其利而爲之也라.
부(富)는 ‘천하(天下)를 탐해서가 아니다’라는 부자(富字)와 같으니,
그 이익을 계산하여 함이 아님을 말한 것이다.
六三은 无妄之災니 或繫之牛하나 行人之得이 邑人之災로다.
육삼(六三)은 무망(无妄)의 재앙이니, 설혹 소를 매어 놓았다 하더라도 행인(行人)이
얻음은 읍인(邑人)의 재앙이로다.
【本義】 卦之六爻 皆无妄者也로되 六三이 處不得正이라 故遇其占者无故而有災하니
如行人牽牛以去어늘 而居者反遭詰捕之擾也라.
괘(卦)의 여섯 효(爻)가 모두 무망(无妄)이나 육삼(六三)은 처함이 정(正)을 얻지
못했으므로 이 점(占)을 만난 이는 까닭 없이 재앙이 있으니, 마치 행인(行人)이 소를
끌고 갔는데 거주하는 이가 도리어 힐문(詰問)하고 체포(逮捕)하는 소요(騷擾)를 당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象曰 行人得牛 邑人災也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행인(行人)이 소를 얻음은 읍인(邑人)의 재앙이다.”
【傳】 行人得牛는 乃邑人之災也라 有得則有失이니 何足以爲得乎아.
행인(行人)이 소를 얻음은 바로 읍인(邑人)의 재앙이다. 얻음이 있으면 잃음이 있으니,
어찌 얻었다고 할 수 있겠는가.
九四는 可貞이니 无咎리라.
구사(九四)는 정고(貞固)히 지킬 수 있으니, 허물이 없으리라.
【本義】 陽剛乾體로 下无應與하니 可固守而无咎요 不可以有爲之占也라.
양강건체(陽剛乾體)로 아래에 응여(應與)가 없으니, 굳게 지키면 허물이 없을
수 있고, 함이 있어서는 안 되는 점괘이다.
象曰 可貞无咎는 固有之也일새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가정무구(可貞无咎)’는 굳게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本義】 有는 猶守也라.
유(有)는 수(守)와 같다.
九五는 无妄之疾은 勿藥이면 有喜리라.
구오(九五)는 무망(无妄)의 병은 약을 쓰지 않으면 기쁜 일이 있으리라
【本義】 乾剛中正으로 以居尊位而下應亦中正하니 无妄之至也라
如是而有疾이면 勿藥而自愈矣라 故其象占如此하니라.
건강중정(乾剛中正)으로 존위(尊位)에 거하고 아래의 응여(應與) 역시
중정(中正)하니, 무망(无妄)이 지극하다. 이와 같은데 병이 있으면 약을
쓰지 않아도 저절로 낫는다. 그러므로 그 상(象)과 점(占)이 이와 같은 것이다.
象曰 无妄之藥은 不可試也니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무망(无妄)의 약은 쓸 수 없는 것이다.”
【本義】 旣已无妄而復藥之면 則反爲妄而生疾矣라 試는 謂少嘗之也라.
이미 무망(无妄)인데 다시 약을 쓰면 도리어 망(妄)이 되어 병이 생긴다.
시(試)는 조금 시험함을 이른다.
上九는 无妄에 行이면 有?하여 无攸利하니라.
상구(上九)는 무망(无妄)에 가면 허물이 있어 이로운 바가 없다.
【本義】 上九非有妄也요 但以其窮極而不可行耳라 故其象占如此하니라.
상구(上九)가 망령됨이 있는 것이 아니요, 다만 궁극하기 때문에 갈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상(象)과 점(占)이 이와 같은 것이다.
象曰 无妄之行은 窮之災也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무망(无妄)의 감은 궁극의 재앙이다.”
【傳】 无妄旣極而復加進이면 乃爲妄矣니 是窮極而爲災害也라.
무망(无妄)이 이미 지극한데 다시 더 나아가면 바로 망(妄)이 되니,
이는 궁극하여 재앙이 되는 것이다.
p164
김재홍 박사 동영상
'周易 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易(上經)~山天大畜卦(26)~2 (0) | 2023.07.19 |
---|---|
周易(上經)~山天大畜卦(26)~1 (0) | 2023.07.19 |
周易(上經)~天雷无妄卦(25)~1 (0) | 2023.07.16 |
周易(上經)~地雷復卦(24)~2 (2) | 2023.07.10 |
周易(上經)~地雷復卦(24)~1 (1) | 202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