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二는 包荒하며 用馮河하며 不遐遺하며 朋亡하면 得尙于中行하리라.
馮:탈빙.遐:멀 하.遺:남길유.
구이(九二)는 거친 것을 포용해 주고, 황하(黃河)를 맨몸으로 건너는
용맹을 쓰며, 멀리 있는 것을 버리지 않고, 붕비(朋比)을 없애면
중행(中行)에 배합하리라.
【本義】 九二以剛居柔하여 在下之中하고 上有六五之應하니
主乎泰而得中道者也라 占者能包容荒穢而果斷剛決하며
不遺遐遠而不?朋比면 則合乎此爻中行之道矣라.
구이(九二)가 강(剛)으로 유위(柔位)에 거하여 하괘(下卦)의
가운데에 있고 위에 육오(六五)의 응(應)이 있으니, 태(泰)를
주관하면서 중도(中道)를 얻은 것이다.
점치는 이가 거침과 더러움을 포용해 주면서도 과단성이 있고
강하게 결단하며, 멀리 있는 이를 버리지 않으면서도
붕비(朋比)들과 사사로이 친하지 않는다면 이 효(爻)의
중행(中行)의 도(道)에 합할 것이다.
象曰 包荒得尙于中行은 以光大也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포황득상우중행(包荒得尙于中行)’은
빛나고 큰 것이다.”
【傳】 象은 擧包荒一句하여 而通解四者之義하니
言如此則能配合中行之德하여 而其道光明顯大也라.
〈상전(象傳)〉은 ‘포황(包荒)’ 한 구(句)를 들어 네 가지의 뜻을
통틀어 해석하였으니, 이와 같이 하면 중행(中行)의 덕(德)에
배합하여 그 도(道)가 광명(光明)하고 현대(顯大)함을 말한 것이다.
九三은 无平不陂며 无往不復이니 艱貞이면 无咎하여 勿恤이라도
其孚라 于食에 有福하리라.
陂:비탈 피.艱:어려울 간.恤:구휼할 휼.
구삼(九三)은 평평하기만 하고 기울지 않는 것은 없으며 가기만 하고
돌아오지 않는 것은 없으니, 어렵게 여기고 정도(正道)를 지키면
허물이 없어 근심하지 않더라도 소기의 목적을 얻어 먹음에 복(福)이
있으리라.
【本義】 將過于中하니 泰將極而否欲來之時也라 恤은 憂也요
孚는 所期之信也라 戒占者艱難守貞이면 則无咎而有福이라.
장차 중(中)을 지나게 되었으니, 태(泰)가 장차 극(極)에 이르러
비(否)가 오려고 하는 때이다. 휼(恤)은 근심함이요 부(孚)는 기대하는
것에 대한 믿음이다. 점치는 이에게 어렵게 여기고 정(貞)을
지키면 허물이 없어 복(福)이 있을 것이라고 경계한 것이다.
象曰 无往不復은 天地際也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가고서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은 천지(天地)가
교제하는 것이다.”
【傳】 无往不復은 言天地之交際也라 陽降于下하면 必復于上하고
陰升于上하면 必復于下하나니 屈伸往來之常理也[一作理之常也]라
因天地交際之道하여 明否泰不常之理하여 以爲戒也라.
‘무왕불복(无往不復)’은 천지(天地)가 교제(交際)함을 말한 것이다.
양(陽)이 아래로 내려오면 반드시 위로 돌아가고, 음(陰)이 위로
올라가면 반드시 아래로 돌아오니, 이는 굴신(屈伸)과 왕래(往來)의
떳떳한 이치이다. 천지(天地)가 교제하는 도(道)를 인하여 비(否)와
태(泰)가 일정하지 않은 이치를 밝혀서 경계로 삼은 것이다.
六四는 翩翩히 不富以其隣하여 不戒以孚로다.
翩:빨리날 편.
육사(六四)는 편편(翩翩)히 부유하지 않으면서도 그 이웃들과 함께
하여 경계하지 않아도 서로 믿도다.
【本義】 已過乎中하니 泰已極矣라 故三陰이 翩然而下復하여
不待富而其類從之하니 不待戒令而信也라 其占이 爲有小人合交하여
以害正道하니 君子所當戒也라 陰虛陽實이라 故凡言不富者는
皆陰爻也라.
이미 중(中)을 지났으니, 태(泰)가 이미 극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세 음(陰)이 편편(翩翩)히 아래로 돌아와서 부유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동류들이 따라오니, 굳이 경계하고 명령하지
않아도 믿는 것이다. 그 점(占)은 소인(小人)들이 모이고 사귀어
정도(正道)를 해침이 되니, 군자(君子)가 마땅히 경계하여야
할 것이다. 음(陰)은 허(虛)하고 양(陽)은 실(實)하므로 무릇
‘불부(不富)’라고 말한 것은 모두 음효(陰爻)이다.
象曰 翩翩不富는 皆失實也요 不戒以孚는 中心願也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편편불부(翩翩不富)’는 모두 실(實)을
잃었기 때문이요, 경계하지 않아도 믿음은 중심(中心)에 원하기
때문이다.”
【本義】 陰本居下어늘 在上은 爲失實이라.
음(陰)은 본래 아래에 있는 것인데 위에 있음은 실(實)을 잃은 것이다.
六五는 帝乙歸妹니 以祉며 元吉이리라.
육오(六五)는 제을(帝乙)이 여동생을 시집보냄이니, 이로써 복을 받을
것이며 크게 선(善)하여 길(吉)하리라.
【本義】 以陰居尊하여 爲泰之主하고 柔中虛己하여 下應九二하니
吉之道也요 而帝乙歸妹之時에도 亦嘗占得此爻하니 占者如是면
則有祉而元吉矣리라 凡經에 以古人爲言 如高宗箕子之類者는
皆倣此하니라.
음(陰)으로서 존위(尊位)에 거하여 태괘(泰卦)의 주체가 되고
유중(柔中)으로 자기 마음을 겸허하게 하여 아래로 구이(九二)에게
응하니 길(吉)한 도(道)이며, 제을(帝乙)이 여동생을 시집보낼 때에도
일찍이 점을 쳐서 이 효(爻)를 얻었으니, 점치는 이가 이와 같이 하면
복(福)이 있어서 원길(元吉)할 것이다. 무릇 경문(經文)에서
고인(古人)이라고 말한 것으로 고종(高宗)과 기자(箕子) 같은
따위는 모두 이와 같다.
象曰 以祉元吉은 中以行願也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이지원길(以祉元吉)’은 중도(中道)로써
원하는 것을 행하기 때문이다.”
【傳】 所以能獲祉福且元吉者는 由其以中道合而行其志願也라
有中德일새 所以能任剛中之賢이니 所聽從者皆其志願也라
非其所欲이면 能從之乎아.
지복(祉福)을 얻고 또 원길(元吉)한 까닭은 중도(中道)로써 합하여
그 뜻에 원하는 것을 행하기 때문이다. 중덕(中德)이 있으므로
강중(剛中)한 현자(賢者)에게 맡길 수 있는 것이니, 들어 따르는
것이 모두 뜻에 원하는 것이다. 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면
능히 따르겠는가.
上六은 城復于隍이라 勿用師요 自邑告命이니 貞이라도 吝하니라.
隍:모퉁이 황.
상육(上六)은 성(城)이 무너져 황(隍)으로 돌아감이니 군대를 쓰지 말
것이요, 읍(邑)으로부터 고명(告命)할 것이니 정(貞)하더라도 부끄럽다.
【本義】 泰極而否는 城復于隍之象이니 戒占者不可力爭이요
但可自守니 雖得其貞이라도 亦不免於羞吝也라.
태(泰)가 극(極)에 이르러 비색(否塞)해짐은 성(城)이 무너져 해자로
돌아가는 상(象)이니, 점치는 이에게 힘으로 다투지 말고 다만 스스로
지켜야 하니, 비록 올바름을 얻더라도 부끄러움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경계한 것이다.
象曰 城復于隍은 其命이 亂也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성(城)이 무너져 해자로 돌아감은 명령을
요란스럽게 내리는 것이다.”
【本義】 命亂이라 故復否니 告命은 所以治之也라.
명령이 혼란하기 때문에 비(否)로 돌아가는 것이니, 고명(告命)은
이것을 다스리는 것이다.
김재홍 박사 동영상
'周易 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易(上經)~天地否卦(12)~2 (0) | 2023.03.24 |
---|---|
周易(上經)~天地否卦(12)~1 (0) | 2023.03.24 |
周易(上經)~地天泰卦(11)~1 (1) | 2023.03.16 |
周易(上經)~天澤履卦~2 (0) | 2023.03.09 |
周易(上經)~天澤履卦(10)~1 (1)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