重地坤卦(2)~1
2. 곤(坤)진우 2. 곤(坤)
坤은 元하고 亨하고 利하고 牝馬之貞이니,
곤(坤)은 원(元)하고 형(亨)하고 이(利)하고 암말의 정(貞)함이니,
【傳】 坤은 乾之對也라 四德同而貞體則異라
乾은 以剛固爲貞이요 坤則[一作以]柔順而[一作爲] 貞이라
牝馬는 柔順而健行이라 故로 取其象曰牝馬之貞이라 하니라.
곤괘(坤卦)는 건괘(乾卦)의 상대이다.
사덕(四德)은 같으나 정(貞)의 체(體)는 다르다.
건괘(乾卦)는 강고(剛固)를 정(貞)으로 삼고, 곤괘(坤卦)는 유순하여
정(貞)하다. 암말은 유순하고 굳건히 걸어간다. 그러므로 그 상(象)을
취하기를 ‘암말의 정(貞)함’이라고 말한 것이다.
君子의 有攸往이니라.
군자(君子)의 갈 바를 둠이다.
【傳】 君子所行이 柔順而利且貞하니 合坤德也라.
군자(君子)의 행하는 바가 유순하고 이롭고 또 정(貞)하니,
곤(坤)의 덕(德)에 합한다.
先하면 迷하고 後하면 得하리니 主利하니라.
먼저 하면 혼미하고 뒤에 하면 얻으리니, 이로움을 주장한다.
【傳】 陰은 從陽者也니 待唱而和하나니 陰而先陽이면
則爲迷錯이요 居後라야 乃得其常也라 主利는
利萬物則主於坤이니 生成이 皆地之功也라 臣道亦然하니
君令臣行하여 勞於事者는 臣之職也라.
음(陰)은 양(陽)을 따르는 것으로 선창하기를 기다려 화답하니,
음(陰)이 양(陽)보다 먼저 하면 혼미하고 어그러짐이 되고,
뒤에 처하여야 떳떳함을 얻는다. ‘주리(主利)’는 만물을 이롭게 하여
곤(坤)을 주장하니, 생성이 모두 땅의 공(功)이다. 신하의 도리 역시
그러하니, 인군은 명령하고 신하는 이행하여 일에 수고로운 것은
신하의 직분이다.
西南은 得朋이요 東北은 喪朋이니 安貞하여 吉하니라.
서쪽과 남쪽은 벗을 얻고 동쪽과 북쪽은 벗을 잃을 것이니,
안정(安貞)하여 길(吉)하다.
【本義】 --者는 偶也니 陰之數也요 坤者는 順也니 陰之性也라
註中者는 三획卦之名也요 經中者는 六획卦之名也라 陰之成形이
莫大於地하니 此卦三획 皆偶라 故로 名坤而象地요 重之又得坤焉이면
則是陰之純, 順之至라 故로 其名與象이 皆不易也라
牝馬는 順而健行者라 陽先, 陰後하고 陽主義, 陰主利라 西南은
陰方이요 東北은 陽方이라 安은 順之爲也요 貞은 健之守也라
遇此卦者는 其占이 爲大亨而利以順健爲正이니 如有所往이면
則先迷後得而主於利리니 往西南則得朋하고 往東北則喪朋이니
大抵能安於正則吉也라.
--는 짝수이니 음(陰)의 수(數)이며, 곤(坤)은 순하니 음(陰)의 성질이다.
주(註) 가운데의 것은 3획괘의 이름이고 경(經) 가운데의 것은 6획괘의
이름이다. 음(陰)이 형체를 이룬 것이 땅보다 더 큰 것이 없는데,
이 괘(卦)의 3획은 모두 짝수이다. 그러므로 곤(坤)이라고 이름하여 땅을
상징하였고, 이를 거듭하여 또 곤(坤)을 얻으면 이는 음(陰)이 순수하고
순함이 지극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 이름과 상(象)이 모두 바뀌지 않은 것이다.
암말은 순하고 굳건히 걸어가는 것이다.
양(陽)은 먼저이고 음(陰)은 뒤이며, 양(陽)은 의로움을 주장하고 음(陰)은
이로움을 주장한다. 서쪽과 남쪽은 음(陰)의 방위이고, 동쪽과 북쪽은
양(陽)의 방위이다. 안(安)은 순함이 하는 것이요, 정(貞)은 굳셈을 지키는
것이다. 이 괘(卦)를 만난 이는 그 점(占)이 크게 형통하고 굳셈을
순종함으로써 정도(正道)를 삼는 것이 이로우니, 만약 가는 바가 있을진댄
먼저 하면 혼미하고 뒤에 하면 얻어서 이로움을 주장할 것이다.
서남(西南)으로 가면 벗을 얻고 동북(東北)으로 가면 벗을 잃을 것이니,
대저 정도(正道)를 편안히 하면 길할 것이다.
彖曰 至哉라 坤元이여 萬物이 資生하나니 乃順承天이니,
〈단전(彖傳)〉에 말하였다. “지극하다, 곤(坤)의 원(元)이여!
만물이 의뢰하여 생겨나니, 이에 순히 하늘을 받드니,
【本義】 此는 以地道로 明坤之義而首言元也라 至는 極也니
比大면 義差緩이라 始者는 氣之始요 生者는 形之始라 順承天施는
地之道也라.
이는 땅의 도(道)로써 곤(坤)의 뜻을 밝히면서 먼저 원(元)을 말한
것이다. 지(至)는 지극함이니, 대(大)와 비교하면 뜻이 다소 느슨하다.
시(始)는 기운의 시작이요, 생(生)은 형체의 시작이다. 하늘의 시행을
순순히 따르는 것이 땅의 도리이다.
坤厚載物이 德合无疆하며,
곤(坤)의 두터움이 물건을 실음은 덕(德)이 무강(无疆)에 합하며,
【傳】 資生之道 可謂大矣로되 乾旣稱大라 故로 坤稱至하니
至義差緩하여 不若大之盛也니 聖人이 於尊卑之辨에 謹嚴如此하시니라
萬物이 資乾以始하고 資坤以生하니 父母之道也라 順承天施하여
以成其功하니 坤之厚德이 持載萬物은 合於乾之无疆也라.
의뢰하여 생겨나는 도(道)는 크다고 말할 만하나,
건(乾)을 이미 크다고 칭하였으므로 곤(坤)은 지극하다고 칭하였으니,
지(至)는 뜻이 다소 느슨하여 대(大)처럼 성(盛)하지 못하다.
성인(聖人)이 존(尊)·비(卑)의 분별에 있어서 근엄함이 이와 같다.
만물이 건(乾)에 의뢰하여 시작하고 곤(坤)에 의뢰하여 생겨나니,
부모(父母)의 도(道)이다. 하늘의 시행을 순순히 따라 공을 이루니,
곤(坤)의 후한 덕(德)이 만물을 잡아 실어 줌은 건(乾)의 무강(无疆)에 합한다.
含弘光大하여 品物이 咸亨하나니라.
포용하고 너그러우며 빛나고 위대하여 만물이 다 형통하다.
【本義】 言亨也라 德合无疆은 謂配乾也라.
형(亨)을 말한 것이다. 덕(德)이 무강(无疆)에 합한다는 것은 건괘(乾卦)와
배합함을 말한다.
牝馬는 地類니 行地无疆하며 柔順利貞이 君子攸行이라.
암말은 땅의 부류이니, 땅을 걸어감이 끝이 없으며 유순하고
이정(利貞)함이 군자(君子)의 행하는 바이다.
【本義】 言利貞也라 馬는 乾之象而以爲地類者는
牝은 陰物而馬又行地之物也일새라 行地无疆은 則順而健矣요
柔順利貞은 坤之德也라 君子攸行은 人之所行이 如坤之德也라
所行如是면 則其占이 如下文所云也라.
이정(利貞)을 말한 것이다.
말은 건(乾)의 상(象)인데 땅의 부류라고 한 것은 암말은 음(陰)의 물건이고
말은 또 땅을 걸어가는 물건이기 때문이다. 땅을 걸어감이 끝이 없음은
순하고 굳센 것이고, 유순과 이정(利貞)은 곤(坤)의 덕(德)이다.
군자(君子)가 행하는 바란 것은 사람의 행하는 바가 곤(坤)의 덕(德)과
같은 것이다. 행하는 바가 이와 같으면 그 점(占)이 아랫글에서 말한 바와
같을 것이다.
先하면 迷하여 失道하고 後하면 順하여 得常하리니 西南得朋은
乃與類行이요 東北喪朋은 乃終有慶하리니,
먼저 하면 혼미하여 도(道)를 잃고 뒤에 하면 순하여 떳떳함을 얻으리니,
서남(西南)은 벗을 얻는다는 것은 동류(同類)와 함께 행함이요,
동북(東北)은 벗을 잃는다는 것은 마침내 경사가 있다는 것이다.
【本義】 陽大陰小하여 陽得兼陰이나 陰不得兼陽이라 故로 坤之德이
常減於乾之半也라 東北은 雖喪朋이나 然反之西南이면 則終有慶矣리라.
양(陽)은 크고 음(陰)은 작아서 양(陽)은 음(陰)을 겸할 수 있으나
음(陰)은 양(陽)을 겸할 수 없다. 그러므로 곤(坤)의 덕(德)이 항상
건(乾)의 반으로 줄어든다. 동북(東北)은 비록 벗을 잃으나
서남(西南)으로 돌아온다면 끝내는 경사가 있을 것이다.
安貞之吉이 應地无疆이니라.
안정(安貞)의 길함이 땅의 무강(无疆)에 응한다.”
【本義】 安而且貞이 地之德也라.
편안하고 또 정(貞)함이 땅의 덕(德)이다.
象曰 地勢坤이니 君子以하여 厚德으로 載物하나니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지세(地勢)가 곤(坤)이니, 군자(君子)가 보고서
후(厚)한 덕(德)으로 사물을 실어준다.”
【本義】 地는 坤之象이니 亦一而已라 故로 不言重而言其勢之順하니
則見其高下相因之无窮하여 至順極厚而无所不載也라.
땅은 곤(坤)의 상(象)이니, 역시 똑같을 뿐이다.
그러므로 ‘중곤(重坤)’이라 말하지 않고 그 세(勢)가 순하다고만 말하였으니,
그 높고 낮음이 서로 인하여 다함이 없어서 지극히 순하고 지극히 후하여
싣지 않는 바가 없음을 나타낸 것이다.
(坤1)
(김재홍 박사 동영상)
'周易 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易(上經)~重地坤卦(2)~3 (4) | 2022.12.20 |
---|---|
周易(上經)~重地坤卦(2)~2 (2) | 2022.12.13 |
周易(上經)~重天乾卦(1)~6 (1) | 2022.11.29 |
周易(上經)~重天乾卦(1)~5 (2) | 2022.11.27 |
周易(上經)~重天乾卦(1)~4 (2) | 2022.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