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山地剝卦~1
p149~
剝은 不利有攸往하니라.
박(剝)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다.
【本義】 剝은 落也라 五陰在下而方生하고
一陽在上而將盡하여 陰盛長而陽消落하니 九月之卦也라
陰盛陽衰하니 小人壯而君子病이요 又內坤而外艮하니
有順時而止之象이라 故占得之者不可有所往也라.
박(剝)은 떨어짐이다.
다섯 음(陰)이 아래에 있으면서 막 자라나고 하나의 양(陽)이
위에 있으면서 장차 다하려고 하여 음(陰)은 성하게 자라나고
양(陽)은 사라져 떨어지니, 9월의 괘(卦)이다. 음(陰)이 성하고
양(陽)이 쇠하니 소인(小人)이 건장하고 군자(君子)가 병든 것이며,
또 안은 곤(坤)이고 밖은 간(艮)이니 때에 순히 하여 그치는
상(象)이 있다. 그러므로 점쳐서 이 괘(卦)를 얻은 이는 가는
바를 두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彖曰 剝은 剝也니 柔變剛也니,
〈단전(彖傳)〉에 말하였다. “박(剝)은 박락(剝落)이니,
유(柔)가 강(剛)을 변화시킨 것이니,
【本義】 以卦體로 釋卦名義라 言柔進于陽하여 變剛爲柔也라.
괘체(卦體)로 괘명(卦名)의 뜻을 해석하였다.
유(柔)가 양(陽)에게 나아가 강(剛)을 변화시켜 유(柔)로 만듦을 말한 것이다.
不利有攸往은 小人이 長也일새라.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음은 소인(小人)이 자라나기 때문이다.
【傳】 剝剝也는 謂剝落也요 柔變剛也는 柔長而剛變也라
夏至에 一陰生而漸長하니 一陰長則一陽消하여 至於[一无於字]建戌이면
則極而成剝하니 是陰柔變剛陽也라 陰은 小人之道어늘
方長盛而剝消於[一作剛]陽이라 故君子不利有所往也라
‘박박야(剝剝也)’는 박락(剝落)을 이르고, ‘유변강야(柔變剛也)’는 유(柔)가
자라나 강(剛)이 변한 것이다. 하지(夏至)에 하나의 음(陰)이 생겨나서
점점 자라니, 하나의 음(陰)이 자라면 하나의 양(陽)이 소멸(消滅)되어
9월에 이르면 지극하여 박괘(剝卦)를 이루니,
이는 음유(陰柔)가 강양(剛陽)을 변하게 한 것이다.
음(陰)은 소인(小人)의 도(道)인데, 막 장성(長盛)하여 양(陽)을
소박(消剝)하므로 군자(君子)가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은 것이다.
順而止之는 觀象也니 君子尙消息盈虛 天行也라.
순히 하여 멈춤은 상(象)을 보고서 하는 것이니,
군자(君子)가 소식(消息)과 영허(盈虛)를 숭상함이 천행(天行)이다.”
【本義】 以卦體卦德으로 釋卦辭라.
괘체(卦體)와 괘덕(卦德)으로 괘사(卦辭)를 해석하였다.
象曰 山附於地剝이니 上이 以하여 厚下하여 安宅하나니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산(山)이 땅에 붙어 있는 것이 박(剝)이니,
윗사람이 이로써 아래를 후(厚)하게 하여 집을 편안히 한다.”
【傳】 艮重於坤은 山附於地也니 山高起於地而反附著(착)於地는
?剝之象也라 上은 謂人君與居人上者니 觀剝之象而厚固其下하여
以安其居也라 下者는 上之本이니 未有基本固而能剝者也라
故上[一作山]之剝은 必自下하나니 下剝則上危矣라 爲人上者
知理之如是면 則安養人民하여 以厚其本하니 乃所以安其居也라
書曰 民惟邦本이니 本固邦寧이라 하니라.
간(艮)이 곤(坤)에 겹쳐 있음은 산(山)이 땅에 붙어 있는 것이니,
산(山)은 땅에서 높이 솟아 있는데 도리어 땅에 붙어 있음은 무너지는
상(象)이다. 상(上)은 인군(人君)이나 또는 백성의 위에 있는 이를 이르니,
박괘(剝卦)의 상(象)을 보고서 아래를 후하게 하고 견고히 하여
그 거함을 편안히 하는 것이다. 아래는 위의 근본이니, 기본(基本)이
튼튼하고서 무너지는 경우는 있지 않다. 그러므로 위가 무너짐은
반드시 아래로부터 시작되니, 아래가 무너지면 위가 위태롭다.
백성의 위에 있는 이가 이치가 이와 같음을 알면 인민(人民)을
편안히 길러서 그 근본을 후하게 할 것이니, 이것이 바로 거함을
편안히 하는 것이다. 《서경(書經)》에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근본이 튼튼하여야 나라가 편안하다.” 하였다.
김재홍 박사 주역 동영상
'周易 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易(上經)~地雷復卦(24)~1 (1) | 2023.07.09 |
---|---|
周易(上經)~山地剝卦(23)~2 (3) | 2023.06.18 |
周易(上經)~火雷噬嗑卦(21)~2 (3) | 2023.06.09 |
周易(上經)~火雷서합(噬嗑)卦(21) (2) | 2023.06.04 |
周易(上經)~地澤臨卦(19)~2 (3)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