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天火同人卦(13)~1
p98~
【本義】 同人于野니 亨하고 利涉大川하니 利君子貞하니라.
涉:건널 섭
【본의】 들에서 사람과 함께 하니 형통하고, 대천(大川)을 건넘이
이로우니 군자(君子)의 정(貞)함이 이롭다.
【本義】 離亦三畫卦之名이니 一陰이 麗於二陽之間이라
故其德이 爲麗, 爲文明이요 其象이 爲火, 爲日, 爲電이라
同人은 與人同也라 以離遇乾하여 火上同於天하고
六二得位得中而上應九五하며 又卦唯一陰而五陽同與之라
故爲同人이라 于野는 謂曠遠而无私也니 有亨道矣라
以健而行이라 故能涉川이요 爲卦 內文明而外剛健하며
六二中正而有應하니 則君子之道也라 占者能如是면
則亨而又可涉險이라 然必其所同이 合於君子之道라야
乃爲利也라.
이(離) 또한 3획괘(畫卦)의 이름이니, 한 음(陰)이 두 양(陽)의 사이에
붙어 있다. 그러므로 그 덕(德)이 이(麗)가 되고 문명(文明)이 되며,
그 상(象)이 불이 되고 해가 되고 번개가 되는 것이다. 동인(同人)은
남과 함께 하는 것이다. 이(離)로서 건(乾)을 만나 불이 위로 올라가
하늘과 함께 하고, 육이(六二)가 정위(正位)를 얻고 중(中)을 얻어 위로
구오(九五)와 응하며, 또 괘(卦)에 오직 한 음(陰)뿐이어서 다섯 양(陽)이
함께 더불므로 동인(同人)이 된 것이다. 들에서 함은 광원(曠遠)하여
사(私)가 없음을 이르니, 형통할 도(道)가 있는 것이다.
굳건함으로 행하기 때문에 대천(大川)을 건널 수 있으며,
괘(卦)됨이 안은 문명(文明)하고 밖은 강건(剛健)하며 육이(六二)가
중정(中正)하면서 응(應)이 있으니, 군자(君子)의 도(道)이다.
점치는 이가 이와 같이 한다면 형통할 것이요 또 험난함을 건널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함께 하는 바가 군자(君子)의 도(道)에 합하여야 이로움이 된다.
彖曰 同人은 柔得位하며 得中而應乎乾할새 曰同人이라.
〈단전(彖傳)〉에 말하였다. “동인(同人)은 유(柔)가 정위(正位)를 얻었으며
중(中)을 얻어 건(乾)에 응하므로 동인(同人)이라 한 것이다.
【本義】 以卦體로 釋卦名義라 柔는 謂六二요 乾은 謂九五라.
괘체(卦體)로 괘명(卦名)의 뜻을 해석하였다. 유(柔)는 육이(六二)를
이르고 건(乾)은 구오(九五)를 이른다.
(同人曰)
【本義】 衍文이라.
연문(衍文)이다.
同人于野亨利涉大川은 乾行也요.
‘동인우야형(同人于野亨) 이섭대천(利涉大川)’은 건(乾)의 행실이요,
【傳】 至誠无私하여 可以蹈險難者는 乾之行也라 无私는 天德也라.
지극히 성실하고 사(私)가 없어서 험난(險難)함을 밟을 수 있는 것은
건(乾)의 행실이다. 사(私)가 없음은 하늘의 덕(德)이다.
文明以健하고 中正而應이 君子正也니,
문명(文明)하고 굳건하며 중정(中正)으로 응함이 군자(君子)의
정도(正道)이니,
【傳】 又以二體로 言其義라 有文明之德而剛健하고 以中正之道相應은
乃君子之正道也라.
또 두 체(體)로 그 뜻을 말하였다. 문명(文明)한 덕(德)이 있으면서
강건(剛健)하고 중정(中正)한 도(道)로써 서로 응함은
바로 군자(君子)의 정도(正道)이다.
唯君子야 爲能通天下之志하나니라.
오직 군자(君子)여야 천하의 마음을 통할 수 있다.
【本義】 以卦德卦體로 釋卦辭라 通天下之志라야 乃爲大同이요
不然則是私情之合而已니 何以致亨而利涉哉아.
괘덕(卦德)과 괘체(卦體)로 괘사(卦辭)를 해석하였다.
천하의 마음을 통하여야 대동(大同)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이는
사사로운 정(情)으로 합한 것일 뿐이니, 어찌 형통함을 이루어
이롭게 건너겠는가.
象曰 天與火同人이니 君子以하여 類族으로 辨物하나니라.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하늘과 불이 동인(同人)이니,
군자(君子)가 이로써 유족(類族)으로 사물을 분변한다.”
【本義】 天在上而火炎上하니 其性同也라 類族辨物은
所以審異而致同也라.
하늘이 위에 있는데 불꽃이 타 올라가니, 그 성질이 같은 것이다.
족(族)으로 분류하고 사물을 분변함은 다른 것을 살펴서 똑같게
만드는 것이다.
김재홍박사 동영상
'周易 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易(上經)~火天大有卦(14)~1 (0) | 2023.04.05 |
---|---|
周易(上經)~天火同人卦(13)~2 (1) | 2023.03.30 |
周易(上經)~天地否卦(12)~2 (0) | 2023.03.24 |
周易(上經)~天地否卦(12)~1 (0) | 2023.03.24 |
周易(上經)~地天泰卦(11)~2 (1)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