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茶) 향기

[스크랩] 여연스님의 재미있는 茶이야기/(차와 물)

by 동파 2006. 5. 10.
728x90

여연스님의 재미있는 茶이야기 ( 차와 물 ) 

새벽달빛이 창문 틈으로 비집고 들어온다. 
풀벌레소리는 어느새 수곽의 물소리에 젖어들고 있다. 
새벽예불을 위해 가만히 문을 열면 사방은 바로 고요해진다. 
인간의 소음에 모든 삼라만상이 긴장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그 분별과 자만으로 인해 자연과 소통하지 못한다. 
파키스탄에서 일어난 인류최악의 강진도 제일 먼저 동물들이 
그 반응을 보인 것은 그 같은 자연과학적인 현실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가만히 문을 열고 나와 발우를 부여잡고 
청수(淸水)를 공양하기 위해 자우홍련사 툇마루를 나선다. 
오렌지처럼 푸른 달빛이 축축한 대지에 차가운 기운을 전달하고 있다. 
맑고 청아한 물소리가 내 영혼을 먼저 깨운다. 
초의스님이 그토록 사랑했던, 세상에서 가장 작은 샘물인 
유천의 물소리다. 산등성위에 살짝 얹힌 두개의 바위 틈 사이로 
대나무가 박혀 있다. 그 대나무를 타고 세 개의 작은 수곽을 지나 
유천의 물이 숙성되면 암반으로 흘러넘친다. 마치 안개비처럼 
산구름처럼 소리없이 물이 흘러내린다. 그 물소리가 혼탁한 세상을 
맑히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유천에 가볍게 반배를 한다. 
그리고 발우를 수곽에 얹으면 또르륵 이슬방울처럼 스며드는 
유천의 물은 마치 광망한 바다에 아침을 물고 나오는 붉은 해가 
세상에 젖어들 듯 장엄한 울림을 전해준다. 발우에 담긴 유천의 
물을 부처님께 공양한다. 지심귀명례 지심귀명례. 
물에 대해 초의스님은 이렇게 말했다.
“물은 차의 몸이요 차는 물의 정신이 되는 것이다.” 
물은 차의 맛을 좌우한다.
“나에게 젖샘이 있어 이 물을 떠서 찻물을 끓이면 수벽탕이나 
백수탕이 돼버리니 어찌하면 목멱산 아래 해거옹에게 이 물을 드릴 수 
있을까.”라며 찻물을 끓이는데, 좋은 물을 권하고 있다. 
찻맛의 절반은 물맛이라는 말이 있다. 차는 물에 우려내는 것이므로 물의 
등급에 따라 찻맛과 그 효능은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옛 차인들은 물을 차를 내는 데 가장 우선순위로 두었다. 
차를 우려내는 데 있어서 물은 그 만큼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에게 좋은 찻물을 구한다는 
것은 하늘의 별 따기 만큼 어렵게 되었다. 
그나마 좋은 찻물을 먹을 수 있었던 산골이나 시골지역도 개발의 바람과 
대기오염으로 인해 그 안전성을 보장받지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는 점은 
현대산업사회의 폐해가 자연환경에 얼마나 치명적인지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차인들에게 차의 물은 포기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좋은 차는 좋은 물을 통해 우리의 오감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초의스님은 “차는 물의 마음과 정신이요, 물은 차의 몸이니 
참 된물(眞水)이 아니면 다신(茶身)을 나타낼 수 없고, 참된 차 (眞茶)가 
아니면 수체(水體)를 나타낼 수가 없다.”고 말했다. 제대로 된 물과 
제대로 된 차가 만났을 때 좋은 차는 그 생명력이 살아난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어떤 물이 참된 물일까. 환경이 오염돼 버린 현재의 
지구촌에서는 좋은 물을 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다만 옛날 차인들이 추천했던 물의 품수(品水)를 통해 차를 우려내기 위한 
참된 물을 정의해볼 뿐이다. 물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다. 
물에서 모든 생명은 태어나고 졌다. 물의 존재는 곧 생명체의 존재와 
연결되어 있을 정도로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좋은 물을 마시면 육신과 
영혼을 증장시켜주는 역할을 하지만 나쁜 물을 먹었을 때는 육신과 영혼을 
갉아먹는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정말로 순수한 물은 바로 깨달음을 얻은 부처 같은 물이다. 
무색(無色), 무미(無味), 무취(無臭)한 것이 참된 물인 것이다. 
초의스님께서는 이렇게 소중한 물에 대해 여덟가지 덕(八德)이 있다고 했다. 
가볍고(輕), 맑고(淸), 시원하고(冷), 부드럽고(軟), 아름답고(美), 냄새가 
나지 않고(不臭), 비위에 맞고(調滴), 먹어서 탈이 없는(無患) 여덟가지로 
물의 덕을 설명하고 있다. 초의스님의 설명에 따른다면 물은 완전무결한 
식품이다. 인간이 즐길 수 있는 모든 맛과 효용을 한꺼번에 가지고 있는 
셈이기 때문이다. 지구상에서 이렇게 완전무결한 것은 그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에는 품천(品泉)이 있다. 육우는 (다경)에서 물의 등급을 
“산의 물을 쓰는 것은 상품이고, 강물은 중품이며 우물물은 하품이다.”고 
평하고 있다.(자천소품)(煮泉小品)에는 “돌은 금의 근본이요, 돌에서 흐르는 
정기는 물을 낳는다.”고 깊은 산중에서 나오는 물이 최고임을 밝히고 있다. 
산중의 물중에서도 최고는 이름난 명산의 샘물이다. 
그중에서도 최고의 샘물은 바로 돌샘이다. 돌은 산의 뼈요, 물은 산의 
골수같은 것이기 때문에 돌샘에서 나오는 샘물이 최고인 것이다. 돌샘은 
산의 정기가 모인 것으로 담백하고 맑고 차기 때문에 물을 길어놓아도 
오랫동안 물의 기운이 그대로 유지된다. 산중의 물중 산마루에서 솟아나는 
샘물은 맑고 가벼우며, 돌 사이에서 나는 석간수는 맑고 달며, 자갈샘은 
차갑다. 땅밑의 샘은 담백한 물을 뿜어내고 황석(黃石)에서 솟아나는 
물은 좋은 물이다. 
다만 청석(靑石)에서 흘러나오는 물은 결코 좋지 않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계곡의 물은 발원지에서 멀수록 좋으며 그 흐름이 조용하고 완만하게 흐르며 
맑아야 한다. 또한 계곡 위쪽의 인적이 끊어진 곳이어야 한다. 흐르는 물이 
발원지에서 멀수록 좋은 것은 물이 흐르면서 광물질 이물질 등이 자연스럽게 
여과되어 어느정도 흐르면 담백한 물이 되기 때문이다. 좋은 명산의 
물중에서도 조심해야 할 것은 바로 샘에 고여 있는 물이다. 물이 넘쳐 
흐르지 않고 고여 있다는 것은 샘이 죽어 있을 뿐만 아니라 물도 함께 
죽어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음은 강물이다. 강물 역시 명산을 발원지로 해서 시작해 흐르는 물이 좋다. 
강물은 또한 오염도를 줄이기 위해 가능하다면 인간에서 멀리 떨어진 것이 
좋으며 빛깔은 맑으며 물맛은 지극히 찬 것이 좋은 것이다. 다음은 우물물이다. 
인가가 밀집된 지역에서 인공적으로 솟아나게 하는 샘물인 우물물 중에서도 
돌이나 모래속에서 솟아나는 상품의 물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우물물은 가까이에 있는 인간의 오물이 섞일 수도 있고, 기름진 
논이나 비옥한 땅에서 건수가 스며들 가능성이 많아서 제일 하품으로 쳤던 
것이다. 이밖에도 호수물, 빗물, 웅덩이물 등이 있으나 찻물로서 적합하지 
않다. 물은 흐르는 유천(流川)이 좋고 돌틈의 석간수가 솟아나는 샘물이 좋다. 
물의 종류에는 하늘의 은택으로 내린 샘물인 영천(靈泉), 하늘에서 떨어지는 
하늘 물인 천수(天水), 바위틈에서 솟아 흐르는 지천(地泉), 강물인 
강수(江水), 우물물인 정수(井水), 유황성분이 함유된 온천(溫泉), 미네랄이 
많이 함유된 약수(藥水)가 있다. 이중에서 현재 찻물로 쓰일 수 있는 물은 
영천 지천 정수 정도일 뿐이다. 현대에는 그 만큼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물이 없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도 유명한 다천(茶泉)이 몇군데 존재한다. 신라시대의 다천으로 
사선(四仙)들이 차를 달여마신 강릉 한송정, 보천과 효명 두 태자가 차를 
달여마시고 차공양을 올린 오대산 서대 우통수, 고려시대 송악의 
안화사(安和寺) 샘물, 충주의 달천수(達川水), 금강산에서 시작되어 
한강으로 흐르는 우중수(牛重水), 속리산 삼타수(三陀水), 초의스님이 
마셨던 두륜산 일지암의 유천(乳泉)등이 있었다. 
현존하는 다천중 가장 유명한 것은 경주 기림사의 오종수(五種水)다. 
석간수로 최상의 찻물로 꼽히며 물색이 음수(陰水)중 음수인 감로수(甘露水), 
물맛이 젖처럼 달콤하며 마시면 마음이 편안하고 고요해지는 화정수(和靜水), 
물에 기운이 있어 장수가 된다는 장군수(將軍水), 눈이 맑아지는 물인 
안명수(眼明水), 까마귀가 쪼는 자리에 물빛이 배어 그 자리를 파서 감로수가 
샘솟았다는 오탁수(烏啄水)가 그것이다. 

초의스님이 계시던 일지암의 유천(乳泉)도 명수(明水)중 명수다. 초의스님은 
“나에게 젖샘(乳泉)이 있어 이 물을 떠서 찻물을 끓이면, 수벽탕이나 
백수탕이 돼버리니, 어찌하면 목멱산 아래 해거옹에게 이 물을 드릴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일지암의 유천은 찻물로는 최상의 물로 평가할 
수 있다. 오죽하면 초의스님이 젖샘이라고 불렀겠는가. 
그렇다면 오늘날 우리가 써야 할 찻물은 어떤 것이 있는가. 차를 하려는 많은 
사람들이 물의 소중함과 귀함을 알고 있으나 도시에서 찻물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고민할 수밖에 없다. 우선 가장 좋은 찻물은 아침일찍 인근에 있는 
높은 명산의 약수터 물을 길어 오는 것이다. 
국가기관으로부터 검증을 받은 약수터인가를 확인한 후 찻물을 먹을 만큼 
길어다 길게는 일주일, 짧게는 2∼3일 동안 먹는 것이다. 그다음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生水)다. 인위적으로 생산한 생수는 요즘 차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생수의 생명은 짧다.3∼4일이 지나면 생수의 본 
성품이 없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정수기를 통해 걸러진 물도 
찻물로 쓰기도 한다. 
그러나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물은 많은 부분에서 물의 본 성품을 강제로 
빼앗아버려 썩 좋은 찻물은 아니다. 마지막으로는 우리가 가장 흔히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이다. 수돗물을 찻물로 쓰기 위해서는 하루쯤 침전해야 한다. 
침전하는 도구로는 옹기항아리가 가장 좋으며 유리병도 무방하다. 
옹기항아리나 유리병 바닥에 삼투압을 할 수 있는 물질인 맥반석, 돌, 굵은 
모래등을 가라앉혀 놓으면 맛있는 물을 얻을 수 있다. 
여름에는 뚜껑을 삼배보자기로 덮는 것이 좋으며 겨울에는 본래 뚜껑을 
덮어두면 된다. 한 항아리의 물은 3분의2만 쓰고 나머지는 허드렛물로 쓰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일지암 암주 
■ 김노경과 초의스님 ‘유천일화’ 
일지암에는 유천이란 샘물이 있다. 유천(乳泉)은 말뜻 그대로 마치 어머니의 
가슴에서 나오는 젖처럼 맑고 담백한 천상의 물이라는 뜻이다. 그야말로 생명을 
기르는 젖과 같은 샘이다. 명나라 전예형은 (자전소품)에서 “젖샘이란 종유석의 
샘이며 산골의 고수다. 그 샘물의 빛깔은 희고 비중은 무겁다. 매우 달고도 
향기로워서 마치 감로와 같다.”고 적고 있다. 참으로 아름다운 물에 대한 비유다. 
유천에 대한 또 다른 일화가 있다. 바로 추사의 부친인 김노경과의 일화다. 
추사의 부친이었던 김노경은 일지암에서 가까운 완도 고금도에 유배를 왔다. 
그곳에서 4년을 보낸 김노경이 마침 그 유배가 풀렸다. 해배가 되어 서울로 
돌아가던 도중 김노경은 일지암을 들를 결심을 했다. 
그가 촉망하는 아들 추사의 인품에 비해 초의스님의 인품이 얼마나 훌륭한가를 
시험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김노경은 초의스님과의 대화를 통해 그의 학식과 
선풍이 뛰어남을 알았다. 그런 그가 초의스님이 권하는 유천을 맛보았다. 
김노경은 중국의 유명한 차와 물에 대해 깊은 조예가 있었다. 
유천의 물을 맛본 김노경은 “일지암 유천의 물은 그 물맛이 
‘수락’보다 더 좋다.”고 극구 칭찬을 했다. 
일지암 유천의 물맛은 참으로 뛰어나다. 당나라 때 소이는 (탕품)에서 물을 끓이는 
기술에 따라 3품, 뜨거운 차를 잔에 따르는 솜씨에 따라 3품, 탕기의 종류에 따라 
5품, 물을 끓이는 땔감의 종류에 따라 5품 등으로 분류했다. 소이는 이 중 가장 잘 
끓인 물을 ‘득일탕’(得一湯)이라 했고 그 다음을 어린탕, 너무 많이 끓어버린 
물을 백수탕으로 구분해놓았다. 좋은 물도 물이지만 좋은 용기에 잘 끓여야 제대로 
된 찻물이 된다는 뜻이다. 
소이는 “사람이 백살을 넘은 것처럼 너무 오래끓은 물을 이야기하다가, 때를 
놓치거나, 볼일 때문에 내버려두다가 비로소 사용하려면 물은 이미 성품을 잃은 
뒤다. 감희 묻거니와 머리털이 희고 얼굴이 창백한 나이 많은 늙은이가 활을 
들고 과녁을 맞힐 수 있겠는가. 아니면 씩씩하게 높은 곳을 올라가거나 활발하게 
걸어서 멀리까지 갈 수 있도록 돌이킬 수 있겠는가.” 끓인 물이 차의 생명을 
좌우한다는 것은 조금 과장일 수 있다. 그러나 물 못지 않게 끓이는 물에 대한 
차인의 정성은 소중해야 한다. 
 
출처 : 찻잔속에 달이뜨네
글쓴이 : 桃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