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etnam War(맹호부대)

베트남 참전 50주년,참전 용사 명예 회복을...

by 동파 2014. 9. 14.
728x90

 

베트남 참전 50년, 참전 용사 명예 회복을
[생각해 봅시다] / 안경환 한국베트남학회 회장·조선대학교 교수
조선일보 / 입력 : 2014.09.12 03:05 
 

9월 11일은 건국 후 최초로 해외 파병을 한 날로, 한국군 140명이 베트남을 향하여 부산항을 출항한 지
50년이 되는 날이다. 그로부터 8년 6개월 동안 한국군은 32만5217명이 베트남전에 참전해 5099명이
전사하였고 1만1232명의 부상자, 8만여명에 이르는 고엽제 피해자가 발생하였다. 베트남전으로 인해
국내에 유입된 66억달러의 외화는 국가 발전의 커다란 원동력이 되어 한강의 기적을 이루게 하였다.
파병 직전 연도인 1963년 우리나라 수출 총액이 9300만달러, 대일 청구권 자금이 총액 8억달러
(무상원조 3억, 재정차관 2억, 상업차관 3억달러)에 불과하다는 것을 볼 때 그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5000년 가난의 역사를 마감하고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만든 새 역사의 주역들이 바로
베트남전 참전 용사들이다. 참전 용사들은 고국에 돌아와 과연 어떤 대우를 받고 있는가?
참전 용사들은 명예 회복을 요구하고 있다. 국가의 부름을 받고 목숨을 걸고 싸운 참전 용사들을
제대로 평가해주지 않는다면 누가 앞장서서 국가를 지키겠는가? 베트남전을 기반으로 세계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한국은 더 늦기 전에 참전 용사들의 일자리 창출과 재교육, 건강보험 혜택 확대 등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베트남전 참전 용사들에 대한 실질적인 명예 회복을 서둘러야 한다.
그 외에 참전 명예수당 인상, 붕따우시에서 1964년 태극기를 게양하고 이동병원 업무를 시작한 9월 25일을
참전기념일로 제정하는 것 등이다.
정부는 베트남 정부와의 외교적 마찰 등을 우려하고 있으나, 베트남과의 외교적인 노력을 통해 한국의
입장을 이해시켜야 한다. 참전자들의 명예 회복에는 관과 학계가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출처] 베트남 참전 50년, 참전 용사 명예 회복을|작성자 아산

2014년9월25일(목요일)

제50주년 월남전 참전 기념식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전우여!

고히 잠드소서...

매년 현충일이 돌아 오면 찾아오지만

이제는 무릎도 아프고 육신이 늙어가고

얼마나 몇해나 찾아올지...

그러나

섭섭하게 생각하지 마소!

당신은 나라를 위하여 산화한 전우입니다.

 




오제의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