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은사의 설화와 전설>
절이름이 바뀐 데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
단유선사가 절을 중수할 무렵 절의 샘가에 큰 구렁이가 자주 나타나 사람들을
무서움에 떨게 하였으므로 이에 한 스님이 용기를 내어 잡아 죽였으나
그 이후로는 샘에서 물이 솟지 않았다.
그래서 ‘샘이 숨었다’는 뜻으로 천은사라는 이름이 붙였다고 한다.
그런데 절 이름을 바꾸고 가람을 크게 중창은 했지만 절에는 여러차례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불상사가 끊임없이 일어났다.
마을사람들은 입을 모아 절의 수기(水氣)를 지켜주던 이무기가 죽은 탓이라 하였다.
얼마 뒤 조선의 4대 명필가의 한 사람인 원교 이광사(李匡師, 1705~1777)가 절에
들렀다가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자 이광사는 마치 물이 흘러 떨어질 듯 한
필체[水體]로 ‘지리산 천은사’라는 글씨를 써 주면서 이 글씨를 현판으로
일주문에 걸면 다시는 화재가 생기지 않을 것이라 하였다.
사람들은 의아해 하면서도 그대로 따랐더니 신기하게도 이후로는 화재가 일지
않았다고 한다
<천은사의 창건 유래>
남방제일선찰 천은사(泉隱寺)는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70번지 지리산의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의 말사로 화엄사,
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3대사찰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절은 지리산 가운데서도 특히 밝고 따뜻한 곳에 자리하고 있는데,
지리산의 높고 깊은 계곡에서 흐르는 맑은 물이 절 옆으로 펼쳐지고
우람한 봉우리가 가람을 포근히 둘러싸고 있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워낙 광대한 지리산자락이라 교통이 불편하였으나
지금은 노고단에 이르는 지방도로가 절앞까지 이어져 있고 화엄사까지
직통하는 도로가 놓여 있어 어렵지 않게 절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산문과 일주문을 지나 독특하고 운치 가득한 수홍문을 건너 절을 찾는
즐거움은 아주 특별합니다. 지리산의 빼어난 산수와 풍광 그리고 그 속에서
불법의 진리를 만나는 것은 더 없는 보람일 것입니다.
천은사는 신라 때 창건된 고찰이다.
신라 중기인 828년(흥덕왕3)에 인도의 덕운(德雲) 스님이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와 명산을 두루 살피던 중 지리산에 들어와 천은사를 창건했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천은사 중건 당시 지어진 극락보전 상량문에 의하면 창건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당 희종 건부2년(875년)에 연기(도선국사)가 가람을 창건하였고 후에
덕운이 증수하였다."
<唐 僖宗 乾符二載 緣起相形而建設 德雲因勢而增修.....>"
<극락보전>
보제루 맞은 편에는 극락보전이 있습니다.
극락전 혹은 극락보전은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교주이시며 중생들의 왕생극락을
인도하시는 아미타부처님과 그 협시보살들을 모신 법당입니다.
사찰에 따라서 미타전, 아미타전, 무량수전, 수광전이라고도 하는데 천은사는
대웅전 대신 극락보전이 사찰의 주된 전각입니다. 극락보전은1774년 혜암선사가
중수하면서 세운 전각으로서 조선 중기 이후의 전통적 다포계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습니다. 현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 5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높직한 방형의 장대석으로 기단을 마련하고 그 위에 민흘림의 둥근 기둥을
올렸습니다. 전체적으로 아담하면서도 장엄한 느낌을 줍니다.
<극락보전 부처님>
극락보전에는 아미타부처님과 그분의 협시보살로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혹은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이 모셔진다.
일찍이 아미타부처님이 법장비구로 수행하던 시절에 그 유명한 48대원을 세워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모든 것이 아름답기 그지없는 서방의 극락정토를
건설하셨다고 한다. 그때 세웠던 서원에 따라 누구나 일념으로 ‘아미타불’이란
명호만을 불러도 극락에 왕생시켜 괴로움을 물리치고 불도에 정진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 대자대비하신 분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아미타불신앙은 예로부터
사후신앙과 관련하여 서민들의 마음 속에 깊이 자리잡아 왔다.
따라서 전국의 사찰에는 아미타부처님이 석가모니부처님 다음으로 많이
모셔져 있다. 아미타부처님은 설법인을 취하고 있거나 미타정인(九品印)이라고
부르는 다양한 수인을 하고 계신다.
<극락보전 후불탱화>
극락보전의 후불탱화에는 주존이 설법인이나 미타정인을 취한 아미타부처님이며
좌우 협시보살로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혹은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이
배치된다. 그런데 아미타불탱화는 석가모니부처님과 아미타부처님의 주존상과
협시보살만 다를 뿐 대웅전의 후불탱화인 영산회상도와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통례이다. 왜냐하면 아미타신앙은 『정토 3부경』에 의한 신앙인데,
이 경전들을 설하신 분이 바로 석가모니부처님이고 듣는 이가 『법화경』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중이기 때문이다.
천은사에서 단체사진
<37기도반>
천은사 홈페이지에서 글을 인용했습니다.
http://www.choneunsa.org
소재지:전남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70번지
종무소:TEL(061)781-4800
'동산불교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지하 시인의"변혁적 생명학,서다림의 자책을 거쳐서" (0) | 2012.01.15 |
---|---|
행복한 화엄경<정각사 정엄 주지스님> (0) | 2011.11.14 |
동산불교대학 가을 사찰순례<지리산 화엄사> (0) | 2011.11.03 |
동산불교대학 가을산사 순례<구례 사성암> (0) | 2011.11.02 |
남산 숲길 걷기와 차 명상의 만남 (0) | 201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