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지들의 벗, 청빈으로 살다 가신 참 수행자”
안종국 기자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 열반 11주기 추모 다례재 봉행
지난 9월7일 한라산 반야사에서 대덕스님과 재가불자 60명 동참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의 11주기 추모다례재가 한라산 반야사에서
봉행됐다.
한라산 반야사(주지 현파 수상 스님)는 지난 9월7일 대법당에서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 열반 11주기 추모 법회를 봉행했다.
이날 대종사 열반 추모법회에는 무주선원 주지 본연스님,
덕산정사 주지 성후스님, 마라도 기원정사 주지 혜덕스님,
여련암 주지 제아스님, 성불사 주지 해주스님, 묘각사 주지 원경스님 등
대덕스님들과 유재호 신도회장 및 제주도노인복지회관 임직원들과
태고보현봉사단원 및 호스피스회 회원 등 재가불자 60여 명이 참석했다.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의 삶과 사상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는 1932년 제주 출신의 큰스님으로 평생 청빈한
삶으로 귀감을 보이신 사표였다. 우리나라 대중포교의 선구자셨던 스님은
제주시 건입동이 본적으로 교래리에서 출생하셨다. 한의사 집안에서
태어나 17세에 학도의용군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고,
전쟁이 끝나 고향에 돌아왔지만, 허무하게도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에 인생의 무상을 느껴 불교에 귀의하였다.
출가를 결심하고, 범어사로 가서 동산 스님의 제자가 되어 범어사에서
3년여의 행자생활을 거쳐 1956년 ‘혜명(慧命)’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1960년 3월 부산 범어사에서 동산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했고,
범어사 불교전문강원을 이수한 후 동국대 불교대학에서 공부했다.
그때부터 6년 여 동안 탑골공원에서 거지들과 같이 생활하면서 매일 같이
법문을 했으며, 그 당시 거지들에게 자비의 마음을 몸소 느끼며
‘불교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중 속에 포교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고 한다.
이후 태국으로 건너가 1968년 방콕 왓 벤타마보핏 사원에서 남방불교를
연구하였고, 일본 경도대학 대학원에서 천태교학을 공부했다.
귀국후 스님은 본격적으로 포교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고,
조계종 총무원에 포교원 설립을 적극 요청해 1980년 결실을 보게 된다.
초대 포교원장으로 석주 스님이 주석한 후 무진장 스님은 2대와 4대를
역임하며 현재의 포교사 제도 및 교육 체계를 이루는 등 포교의
근간을 세웠다.
혜명당 무진장 스님은 2007년 조계종 원로의원으로 추대되었고,
2008년에 대종사 품계를 받았다. 그후 2010년에 서울 조계사 회주로
추대되어 40여 년을 조계사에 주석하며 불교 발전과 대중포교에 평생을
헌신했다. 무진장 스님은 출가의 삶 58년 동안 ‘마음이 어리석으면
그것이 범부이고 한 생각 깨달으면 그게 곧 부처다’, ‘불교는 믿음의
종교가 아니라 마음(깨달음)을 닦는 종교다’라고 정법만이 길임을 강조했다.
평소 “시줏돈을 함부로 쓰면 큰 죄”라며 수행자로서 반드시 지켜야 할
근검절약을 강조했다. 비슷한 일화로 스님은 모자를 평생 쓰지 않으셨는데
“모자를 쓸 거면 머리를 깎지 말지”라며 삭발한 그 자체가 수행자의
여법한 모습이라고 늘 강조했다고 전해진다. 이처럼 강직한 성품으로
일체의 주지직, 평생 봄․가을 춘추복으로 겨울과 여름을 나셨고,
춥다고 솜옷과 목도리, 내복, 장갑 등을 일체 걸치지 않으시는 등
한 평생 수행자 본연의 모습을 지키고자 했다.
상좌인 현파 스님은 1983년도에 출가해 불교사상대강연회에서
무진장 스님의 법문을 듣고 크게 감동을 받았으며
1989년에 대원불교대학 강의를 들으면서 참스승으로 생각하게 되었다고 하며,
이후 1989년 조계사에 네 번을 찾아가 상좌로 받아줄 것으로 허락받고
사제지간의 인연을 맺게되었다. 현파스님이 중앙승가대학 재학시에 무진장 스님은
법문비를 모아 등록금을 항상 챙겨줄 정도로 인연이 깊었고,
11년전 범어사에서 무진장 스님의 다비를 한 후에는 제주 반야사에서 5재를
봉행하기도 했다.
그리고 무진장 스님의 육신사리는 49재 후 무진장 스님의 첫 삭발지인
부산 범어사 금정산과, 스님의 탄생지인 제주도 한라산, 스님의 전법지인
서울 북한산에 산골(散骨)하였고, 정골사리는 부산 범어사와 제주 반야사에
부도탑을 조성하고 봉안했다. 평생 대중교화와 교육에 매진한 공로로 조계종
포교대상을 비롯해 제3회 대원상 대상 등을 받았으며, 1987년에는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훈했다.
(제주 불교신문에서 인용)
'무진장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 열반 11주기 추모법회~애월 반야사 (16) | 2024.08.28 |
---|---|
무진장 대종사 10주기 추모법회~애월 반야사 (1) | 2023.09.16 |
무진장(無盡藏)스님 부도탑을 찾아서~제주 반야사(般若寺) (2) | 2022.10.04 |
무소유와 전법 - 무진장 스님 1부 [인연그리고법연] (0) | 2022.09.10 |
무진장 대종사님 추모하는 찬불가~반야사 현파스님 (1) | 2022.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