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시(獻詩)
김길웅, 칼럼니스트
인연은 하늘을 흐르는 구름 같은 것,
비 갠 마당의 잔디 위로 내려앉는 햇살 같은 것이다.
바람을 타고 밀려와 섬의 새까만 현무암에 산산이 부서져
흩날리는 물결 같은 것이다. 소리없이 피는 꽃이고 낙엽으로
져 흩어지는 가랑잎이다. 아침마다 다시 뜨는 해이고 하루를
가로 질러 칠흑의 밤으로 잠기는 시간의 긴 그림자다.
순환하기도 한다. 봄이고 여름이고 가을이고 겨울이다.
가까이 살다 손흔들며 떠나간 이웃이고,
떠나더니 감감 무소식인 얼굴이고, 그리워 부르다 목마른
이름이다. 세월이 지나면서 그것은 소리내어 읊던 습작의
내 시이고, 내 마음을 속속들이 풀어놓은 채 지금도 흘러가는
절제되지 않은 한 편의 수필이다.
그것은 분명 존재하는 어떤 실체다.
내 것이면서 나나 당신이나 그의 전유물이 아닌,
그와 당신과 내가 공유하는 그 무엇으로, 내 안에 있으면서
내 밖에 있다는 검증된 이유이다.
나는 지난 2년 모름지기, 생각지 않은 만남이 인연으로
이어지는 한 편의 서사를 엮고 있었다. 고국을 떠나 오래
미국에서, 미국 국적으로 살아온 김경림 수필가 내외를 만난 것.
두 분 모두 팔순으로 어려운 시절 서울에서 대학을
나온 엘리트들이다.
고향인 구좌 월정에 묻히고 싶다는 남편(고근필님)의
소원 따라 제주에 와 부부가 금실지락을 이어갔다.
김 수필가를 만난 것은 ‘제주일보’에 연재하는 내 칼럼
‘안경 너머 세상’이었다. 애독자인데 한번 만나고 싶다는 게 아닌가.
내외와 함께 만나 저녁을 함께하며 부군이 미국에서 오랫동안
한인회 회장을 해왔고, 칼럼을 쓰는 등 문필가라는 것과 부인
김경림님이 글쓰기를 좋아함에도 국어권이 아니라 안타까워하고
있음을 알게 됐다. 얼마 후 묵직한 택배가 왔다.
무슨 책인가 했더니 김경림님이 보낸 스크랩북이었다.
‘제주일보’에 실린 내 칼럼을 오려낸 것이 아닌가.
한 권을 꽉 채워 깜짝 놀랐다. 얼마나 모국어에 목말랐으면
신문에 나온 글을 기위질했을 것인가. 기연(奇緣)이었다.
나는 김경림님의 모국어가 그리워 타는 목을 축여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연이 닿는 ‘한국문인’에 추천해 수필가로 등단하게 했다.
수필가가 되면서 ‘제주일보’-‘사노라면’ 필진으로 글을 발표하다
남편이 노환으로 몸져 누우면서 간병을 위해 붓을 내려놓았다.
몹시 안타까웠다. 어간, 작년 말 남편이 귀천하자 소원에 따라
선산에 장례를 치렀다. 대사를 치른 김 작가가 다시 미국으로 돌
아간다는 게 아닌가. 소중한 인연이라 무심할 수 없었다.
헌시를 쪽자에 표구해 보내기로 했다.
‘신문을 오리던’
-김경림 작가께 띄우는 시
신문 칼럼을
오리던 김경림 작가의 손은
공작의 손이 아니라
미국인으로 살아 모국어를 향한
타는 그리움이었다
김 작가의 손매로 채운 스크랩북이
「여든두 번째 계단에 서다」에
들돌의 무게로 앉아 있다
짧은 시간에
한국문단에 데뷔했고
남편 귀천을 기도로 지킨 서사 뒤
유채꽃 만개한 3월에 돌아가신다
몇 톨 추억 남겨놓고
미국으로 가신다
님이시여!
소중한 제주의 인연 속에
천수를 누리소서
(東甫 김길웅)
'동보 김길웅 시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도리 (2) | 2024.02.16 |
---|---|
길의 시작, 그 탐색(5) 닫힌 그 골목길 (1) | 2024.02.02 |
빨리 달아오르면 빨리 식어 (4) | 2024.01.19 |
마음의 눈(心眼) (2) | 2024.01.12 |
길의 시작, 그 탐색⑷ 수필의 길, 시의 길 (0) | 202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