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보 김길웅 시인

어휘 실종

by 동파 2022. 10. 21.
728x90

어휘 실종
 
김길웅, 칼럼니스트

미당 서정주 시인은 늘그막에 어휘를 제대로 챙겼던 분이다. 
시인에게 언어는 생명이니 그랬음 직하나 여간한 작심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다.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하는 일이 세계의 산맥 천 개의 
이름을 외웠다 한다. 색다른 취향이란 생각이 든다.

북아메리카에서 남아메리카로 내려 아시아 유럽으로…. 
산맥 이름을 자근자근 외웠다는 것. 웬만한 근기로 될 일이 아니다. 
그 이름들이 우리나라 산맥도 아닌 외국의 낯선 것들이라 황당하다는
 느낌마저 든다. 한데 유명 시인께서는 하루도 그냥 건너뛰는 일이 
없었다니,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나이가 들면서 시인의 노역이 그냥 해본 게 아니라는 걸 실감하게 된다. 
무방비 상태로 새어 나가는 기억력을 붙들려 안간힘 쓴 것으로, 
범상한 사람으로선 생각할 수 없는 눈물겨운 자신과의 싸움이었을 것이다. 
시인의 시작에서 전통적 시어의 자기관리가 완벽했다면 결코 그냥 된 
일이 아니란 의미다.

내가 글줄이라고 끼적이면서 제일 겁나는 게 어휘 실종이다. 
내 글이 노화로 글 자체의 볼륨이 확연히 졸아들었지 않은가 하는 성찰의 
눈을 뜨게 된다는 얘기다. 듬직하던 체중이 조금씩 축나다 삭정이 같은 
내 몸이 나뭇잎 일렁이는 미풍에도 균형을 잃게 되지 않을까 하는 것, 
제발 하잘것없는 기우이기를 바라는 맘 간절하다. 
평생 내게 허여된 시간이 있는 한 글을 멈추지 않겠다고 
결심한 내게 언어 실종은 웬만한 사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요즘 나는 글을 써놓고 퇴고할 때면 눈이 어휘들에 가 있다. 
혹여 어휘의 빈곤으로 쓰다 만 문맥이 숨어 있어 저기까지 가야 할 게
 이쯤에서 멈추지는 않았나 두리번거린다는 뜻이다. 
수필이든 칼럼이든 운문이든 산문이므로 그것이 끌어안아야 할 어휘의 
영토는 광막하다. 자그마치 자기가 거느릴 ‘섬’ 하나는 너끈히 돼야 하는 
것 아닐까. 극도의 함축을 요구하는 운문(시) 하고는 저절로 차별화해 
마땅한 것이라. 그래서 글을 쓴다는 게 날로 힘들다.

더욱이 칼럼, 신문글을 쓸 때는 더할 나위 없이 긴장한다. 
독자들이 어떻게 느낄까, 나와 같은 생각으로 공감할까, 
혹여 내가 너무 외곬의 사유에 집착한 건 아닐까…. 
그러다 보니 서툰 타자가 오탈자를 날리며 해프닝을 찍어내는 수가 
늘어가니 문제다. 30년 글을 올리면서도 쓰고 나면 아직 벌충할 게 
남아 있기라도 한 듯 허전해 마냥 껄끄러운 게 신문글이다.

미당 시인을 본받을 순 없지만 어떤 방식으로 무얼 외우면서, 
어휘의 누수를 막을 작은 장치를 서둘러 해야 할 건 아닌지 모르겠다.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 어휘 하나 떠오르지 않아 전전긍긍할 때가 
잦으니 그런다. 막상 필요할 때 머릿속에 기억을 가로막는 검은 장막이 
덮이질 않는가. 이럴 때를 그냥 놓치지 않는다. 그 말의 주변을 맴돌고 
서성이며 꼬투리를 찾아 헤맨다. ‘아, 그렇지.’ 실종됐던 어휘를 찾아 
놓고 손뼉 치며 아이처럼 좋아한다. 기억을 훔치는 게 치매다.

아내가 전화를 받으며 지금 살고 있는 아파트 이름에 걸려 
당혹해하는 모습에 경악한 적이 있다. 충격이었다. 
아내에게 의무적으로 신문을 읽도록 강제(?) 하고 있다. 
샅샅이 읽으라는 내 눈빛을 보며 빙그레 웃는 아내. 
지금부터라도 어휘 실종으로부터 자신이 도망칠 수 있으면 
늦지 않을 것이다. 두뇌 활동을 원활하게 하면 분명 답을 얻는다. 
나의 믿음이다.



 

 

'동보 김길웅 시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있는 그대로 사는 것  (2) 2022.11.04
음각(陰刻)인 이유  (0) 2022.10.28
아파트 숲으로 오는 가을  (2) 2022.10.14
<내게 거는 주술>  (3) 2022.10.07
면벽(面壁)  (1) 2022.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