吟秋史先生謫居後/先韻(음추사선생적거후/선운)
作詩 鹽丁 金用來(작시 염정 김용래)
秋史流居二百年( 추사유거이백년) 추사선생 유배된 지 근 이백년
生前遺墨貴珍傳 (생전유묵귀진전) 생전 유묵 진귀하게 전해지는데/
近來習者不知數 (근래습자부지수) 근래 익히는 자 알 수 없어
眞髓成人未有連 (진수성인미유연) 진수를 이룬 사람 아직까지 없다네/
■주요 어휘
▲流居(유거)=유배 ▲遺墨(유묵)=남겨진 작품 ▲習者(습자)=추사체를 익히는 사람
▲眞髓(진수)=사물 현상의 중심 부분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만 뽑아낸 부분. 속 알맹이
▲髓=골수 수 ▲未有(미유)=아직까지 ∼이 없다 ▲連=이을 연
■해설
추사 선생은 제주에 귀양(1840-1848)을 와 대정읍 안성리에 위리안치(圍離安置)되어
9년을 이곳에서 보냈다. 추사 선생이 제주에서 보낸 유배 생활 9년 기간에 추사체가 절정기에
이르렀다. 추사 선생의 제주에 끼친 영향은 상당하다.
선생의 유묵은 진귀한 보물로 전해지고 있는데, 특히 선생께서는 벼루 10개, 붓 1,000자루
정도를 썼다고 한다. 금석학과 고증학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젊은 시절에 연경(燕京)에 다녀오며
접한 문물과 인적교류는 선생의 서예술 혼을 뿜어내는데 밑바탕이 되었다. 제주에서 적막한 생활을
이겨내고자 하는 마음이 일이관지(一以貫之) 서예술로 승화되어 걸출한 추사체가 탄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요즘 서예전을 감상하다보면 일부는 근본을 다지기도 전에 속성으로 형체만을 추구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옛 법첩을 꾸준히 연마하는 것이 지름길임을 잊는 것 같아 아쉬움을 갖는다.
누군가는 일도(一途) 매진(邁進)하다 보면 청출어람(靑出於藍)하여 선생을 능가하는 서예가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소묵회 전시 작품 주제가 추사선생과 관련한 내용이어서,
작품을 출품하며 서툴지만 7언절구로 한수 지어 보았다.
<해설 염정 김용래>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선생 제주도 유배지(流配址)를
제주도에서 살고있기에 자주 찾아가서 작품을 많이 감상을하고있다.
위 사진은 대정 추사관에 있는액자이며
아래 판전(板殿) 사진은 서울 봉은사에 있는 현판입니다
71세때 과천 사람이 병중에 썼다라는 마지막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별세하기전 사흘전에 휘호 하신것으로 더욱 유명합니다.
제주도 입도하기전 丙申年 정월에 大休堂거사에게 증정한 東坡의 般若心經
'한시와고문진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吟庚子小雪/文韻(경자년 소설에 읊다/문운) (0) | 2020.12.23 |
---|---|
吟庚子處暑/支韻(경자년 처서에 읊음/지운) (0) | 2020.10.07 |
於三光寺/庚韻(삼광사에서/경운) (0) | 2020.07.23 |
獻歲晩學/陽韻 (0) | 2020.02.12 |
登月郞峰/東韻(다랑쉬 오름에 올라/동운) (0) | 2017.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