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산신신앙에 대하여... |
산신은 가람의 외호신(外護神)인 까닭에 사찰의 뒷쪽 외각에 |
산신각(山神閣, 또는 山靈閣)을 짓고 그 안에 호랑이와 |
노인의 모습으로 묘사한 산신상이나 산신탱화를 봉안한다. |
그런데 산신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오해가 적지 않다 |
즉 산신이 원래는 불교와 관계가 없는 토속신이었으나 |
불교가 재래 신앙을 수용할 때 호법신중의 하나로 삼아 |
불교를 보호하는 수호신의 역할을 부여하였다는 것이다 |
물론 이런 견해가 나름대로 충분한 설득력을 지니고는 있다. |
그러나 불교에서 일컬어지는 산신에 대한 개념의 근거는 |
화엄법회에 동참했던 39위의 화엄신중 가운데 제 33위에 엄연히 |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
그러므로 산신을 불교와 관계가 없는 토착신앙만으로 보는 |
견해는 재고 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
『석문의범』의 산신청(山神請) '가영(歌詠)'에서는 산신은 |
옛날 옛적 영취산에서 부처님의 부촉을 받으시고, |
강산을 위진하며 중생을 제도하고 푸른하늘 청산에 사시며, |
구름을 타고 학처럼 걸림없이 날아 다니시는 분 |
(靈山昔日如來囑 威鎭江山度衆生 萬里白雲靑障裸 雲車鶴駕任閑情) |
이라고 찬탄하고 있는 것으로도 이를 더욱 뒷받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우리 나라는 전 국토의 2/3가 산이기에 선조들에게 있어서 |
산은 곧 생활의 터전이었다. 산을 의지하여 살았고 또 죽어서는 |
그 곳에 묻혀야 했던 사람들이 산에 대한 경외심을 |
갖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을 것이다. |
이러한 산악 숭배가 전국의 곳곳에 산신당(山神堂)을 짓고 |
숭배한 것은 사실이겠으나 그런 이유만으로 불교의 |
수호신으로 수용된 것이 아니라, 주지하였다시피 화엄경 등의 교의적 |
근거가 있었기에 소재강복(消災降福: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내리는)의 |
외호신으로 무리없이 습합될 수 있었던 것이다. |
산수와 노송을 배경으로 가운데 큼직이 앉아서 인자한 미소와 눈빛을 |
보이는 산신은 왼손으로는 흰수염을 만지며 오른손에는 |
백우선(白牛扇)을 잡고 있다. 산신청 '거목(擧目)'에, |
만 가지 덕을 갖추고 뛰어난 성품을 한가롭게 가지고 계시며 |
(萬德高勝性皆閑寂山王大神)", '사찰이 자리한 산에 |
항상 계실(比山局內恒住大聖山王大神)'뿐만 아니라 |
'시방법계에서 지극한 영험을 나타내시는 분(十方 法界至靈至聖山王大神)' |
임을 한눈에 느낄 수 있도록 덕성스럽게 표현되어 있다. |
산신의 뒤로는 힘찬 소나무의 뻗은 가지와 잎이 화면의 상단을 |
가득 메우고 있으며 청록산수 기법으로 표현된 화려한 산수에는 |
부귀화(富貴花)인 모란꽃이 피어 있고 새들이 노닐고 있으며 |
이런 기쁨과 즐거움이 항상하기를 기원하는 상징으로 |
서운(瑞雲)과 함께 붉은 해가 나타나 있다. |
정해년 3월 산신기도 안내 |
적석사는 1600년 해동 관세음보살님과 산신님의 기도도량으로 |
그 명성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산신님은 낙조대 범(호랑이)바위 |
아래 모셔져 있어 낙조대의 아름다운 풍경과 어울려 환희심과 신심이 |
절로 우러나는 도량입니다. 매년 음력 3월과 9월에 봉행해 온 산신기도. |
올해는 양력 4월21일(음력3월5일)부터 4월23일 |
(음력3월7일)까지 3일간 봉행합니다. |
1) 산신기도의 의의 |
① 가택의 안녕 기원. |
② 사업 번창과 모든 소원 성취. |
2) 산신기도 예절 |
① 모든 의식 절차와 예절은 신중기도와 같습니다. |
② 다만 산신기도의 주력은 산왕대신입니다. |
③ 산신기도 입제 : 4월21일(음3.5)오전10시 |
기도는 4분정진으로 새벽5시. 오전10시. 오후3시. 저녁7시입니다. |
산신기도 준비물 - 막걸리(소주는 안됨)-나무에 줄 방생용입니다. |
야채 (오이.당근.미나리) 중 1가지 |
(위 글은 적석사 홈페이지에서 인용했습니다)
'산사(山寺)'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백팔배를 올립니다... (0) | 2007.05.26 |
---|---|
부처님 오신 날 (통도사 서울 포교당 구룡사) (0) | 2007.05.24 |
대웅전(大雄殿)웅(雄)의 현판 글씨 (0) | 2007.04.15 |
대웅전(大雄殿)현판 (0) | 2007.04.15 |
각 사찰의 대웅전(大雄殿) 현판 (0) | 2007.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