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언영색(巧言令色)
김길웅 칼럼니스트
논어 학이편과 소학의 해로운 벗 셋 중 하나로 언급했다.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낯빛’이란 뜻이다.
논어는 동양의 고전 중 가장 많이 읽혀 왔고 지금도 많이 읽히고 있다.
그러나 공자의 제자들이 스승의 언행을 정리했지만,
우아하게 잘 정돈된 책이 아니다.
스승이 농담 삼거나 실수한 것까지 실렸는가 하면, 혼잣말이나
제자들끼리 주고받던 얘기도 섞여 있다.
사실, 논어를 절대 진리인 양 달달 외워 봤자 시대와 괴리된 부분이
적지 않다. 말도 잘할 필요가 있거니와 겉모습 또한 비즈니스 관계상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수단이므로 소홀히 해선 안된다.
이 말을 입에 올리며 분명히 할 것은, 말하고 꾸미는 자의 마음자리를
제대로 짚는 일이다. 쉽지 않을 것이나,
이 부분이 핵심이므로 간과해선 안된다.
말을 번지르르하게 잘하고 낯도 잘 바꾼다면 공자가 말한 소인배요,
극단적으로는 사기꾼이 될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공자가 말했다.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곱게 꾸미는 사람 중에는
인(仁)한 이가 드물다.” ‘교(巧)’는 교묘하다, ‘영(令)’은 아름답다는 의미다.
묘하게 말하거나 겉모양을 부러 꾸미는 사람 가운데 인(仁)한 자가 없다
한 것이다. 흡사 미사여구로 꾸며 놓은 미문(美文) 같아서 속이 텅 비어
있음을 짚어냈다. 진실이 담기지 않으면 글이 아니다. 하지만 말과
겉모습은 사람의 품격을 나타낸다.
예나 지금이나 시대를 초월해 중요한 것이다.
권력자 앞에 당당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삼가고 낮추게 마련이다. 무소불위의 절대 권력인데 자신을 잘 보이려
다가갈 것은 인지상정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요즘 정치인들의 교언영색은
행태가 지나쳐 낯 뜨거울 지경이다. 듣는 사람이나 말하고 꾸미는 사람이나
잘 주고받으니 실은 할 말이 없기도 하다.
“각하, 시원하시겠습니다.”란 옛말을 끄집어내야 할 것인가.
대놓고 말하건대, 외국 순방길에서 돌아오는 대통령을 마중하는 자리에서
카메라에 비친 어느 장관, 말은 귀엣말이라 잡히지 않았으니 모른다.
한데 그 표정이 무언가. 조금 전까지 지녔던 안면의 평온이 삽시에
무너진 그 얼굴이라니. 그래야 장관을 하는가.
대통령도 그더러 “고생하셨다.” 하는 걸 국민이 보고 들었다.
많은 젊은이들을 잃은 끔찍한 참사, 그 책임을 져야 할 장본인에게 할
말인가. 국민 정서에 안 맞다.
요즘 한자리 하고 있는 분들, 믿는 구석이 있어선지 모르나 언행이 도를
넘어 비난을 받는 건 아닌지 여간 염려스럽지 않다.
말은 국민을 시종 입에 바르면서 진작 내놓아야 할 민생에 대한 실질적
정책은 무엇인가. 무계획, 무정책인 것 같아 안쓰럽다.
그런데다 대통령의 지지율에만 집착하는지, 하는 일들이 국민에게
‘보이기 위한 것’으로만 비치니 문제다. 정권이 들어서 반년인데
나라 어느 한 곳에 열어놓은 새 지평이 있기나 한가.
권력기관의 수장이었던 대통령이다. 엄중해야 한다.
무너지는 정의와 공정과 상식을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밤잠을 물려야 한다.
측근의 교묘한 말과 알랑대는 낯빛에 쏠린다면 뜻밖의 큰 어려움을
겪을지도 모른다.
잘하는 말과 교묘한 말은 다르다.
얼굴빛을 꾸미는 것은 자신의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로되,
명품으로 감싼 자의 내면은 참 허하다.
팔순 노인, 공자의 인(仁)을 생각하시라 권한다.
'동보 김길웅 시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착한 민들레의 약속 (2) | 2022.12.09 |
---|---|
배구 코트에 몰고 온 태풍 (0) | 2022.12.02 |
참 아름답습니다 (0) | 2022.11.18 |
김길웅 작가 제2회 문학秀문학상 대상 수상 (0) | 2022.11.11 |
은수저 (0)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