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보 김길웅 시인

부부 발소리에 자란 수박

by 동파 2021. 7. 23.
728x90

부부 발소리에 자란 수박

제주일보
승인 2021.07.22
김길웅 칼럼니스트

 

7월 들어 며칠 비가 질척이더니 장마가 걷혔다.
조기 퇴장이다. 곧바로 폭염의 시간이 눈앞에 다가와 맹위를 떨치고 있다.
아침부터 푹푹 찌기 시작한다. 33도로 첫 폭염경보라더니,
육지 어느 곳은 35도까지 끌어올렸다. 세상 벌컥 들쑤셔 놓은 코로나19보다
더 무서운 게 폭염이란다. 기상 캐스터가 지레짐작으로 한 말이 아닐 것이다.

화기를 퍼트리며 아파트로 달려드는 햇볕에 베란다도 구실을 잊었다.
그런다고 블라인드를 내릴 수도 없다.
펄펄 끓어도 간간이 밖을 내다봐야 한다.
더위를 말없이 견뎌내는 숲이 있잖은가.
무풍한 데도 시종 부동으로 서 있는 나무들은 외려 이 여름을 즐긴다.
목표가 있다. 광합성으로 시간의 두께만큼 굵어 가며 키를 키운다.

앞 동 화단의 두 그루 때죽나무, 봄에 눈처럼 흰 꽃으로 덮이더니 꽃 지고
잎 돋으며 번무해 그새 한두 뼘은 자라 올랐다.
아파트 일 층 유리창 반을 가려 놓았다. 참 놀라운 생명력이다.
나무들은 멀뚱히 서 있지 않다. 심을 ‘植’ 자로 이름을 붙여 놓았을 뿐
순간순간 빈 데를 메우며 벋고, 구름 흐르는 하늘을 향해 치솟는
나무들의 저 활기.

“선생님, 댁에 계시죠? 서귀포에 볼일이 있어 나선 길에 잠깐 들르려고요.”
‘어허. 이 불더위에?’ 하려는데 핸드폰이 꺼져버린다.
동생같이 아끼는 친구지만 펄펄 끓는 날씨다.
조천에서 신제주까지 올 일이 무언가.
하긴 저 하자 한 걸 마라 한다고 그만 둘 그가 아니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내외 동반으로 어느새 현관문 앞에 와 있는 그가 컨테이너를 급히 내려놓는다.
“수박입니다. 바로 가야 합니다.” “이런, 더운데 땀이라도 들이고 가야지,
이 사람아.” “아닙니다. 그럴 일이 있어요.”
현관문을 나서며 요즘 볕에 탄 얼굴이 하얗게 이를 드러내 웃고 있지 않은가.
손을 들려는데 문이 닫힌다.

큰 수박 두 덩이. 생전 처음 보는 슈퍼 수박이다.
옮겨 놓는다고 들으려다 깜짝 놀랐다. 들돌 같다.
눈 휘둥그레져 어쩔 바를 모른다.
퇴근길에 들른 큰아들이 끙끙대며 겨우 해체 작업을 해 서로 나눴고,
작은아들도 와 간신히 엘리베이터를 태웠다.
커서 놀랐는데, 하도 달아 또 한 번 놀랐다.
가족 열 입이 더위를 식히며 크다 달다 껍질이 얇다 별나게 씨가 적다
품평들을 했겠다.

수박을 가져다준 이, 동생보다 더 아끼는 양재봉 수필가. 서예가, 환경운동가,
미생물연구가, 서각가, ‘家’ 자로 일가를 이뤄낸 그다. 맛에 홀려 끝물에야
그냥 수박이 아니라는 데 감이 꽂혀, ‘어떻게 나온 수박이냐 물었더니,
말로 불통일 걸 짐작했는지 메일이 왔다.
그는 고래등 같은 3층 집에 넓은 채마전을 끼고 산다.

“닭 17마리, 개 2마리 키우면서 모은 계분과 견분을 풀에 섞어 유산균을 넣으며
거름을 만들었다. 이걸 2월에 구덩이를 파 다섯 번쯤 갈아엎었다.
4월에 모종을 심고 유산균을 이틀에 한 번 주며 보듬었다.
물론 농약도 뿌리지 않았고 화학비료는 근처를 스치지도
몰라보게 몸집을 키우매 그중 큰 것부터 주인을 정했다.
첫 번째 주인은 선생님이다. 우리 부부의 발소리를 들으며 쑥쑥 큰 것들이다.
드시고 여름을 시원히 났으면 좋겠다. 참외랑 무화과가 익으면 다시 찾아뵙겠다.”

수박의 탄생 서사를 읽으며 더위도 잊고 가슴 뛰었다.
고맙네, 양 수필가!

 

 

'동보 김길웅 시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제(女帝)  (0) 2021.08.06
간서치(看書癡)  (0) 2021.07.31
아이들을 저렇게까지  (0) 2021.07.16
화수분  (0) 2021.07.09
목소리 큰 사람  (0) 2021.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