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西來華疫有感 二首(서래화역유감 2수)

by 동파 2020. 4. 23.
728x90

西來華疫有感 二首(서래화역유감 2수)

제주신보
2020.04.21

作詩 歸之軒 金淳宅(작시 귀지헌 김순택)

一. 陽韻(양운)

災殃熾盛國情荒 재앙치성국정황 재앙은 치성하고 나라형편은 어려운데
晝夜思量務爲防 주야사량무위방 밤낮으로 방제에 애쓰고 있다마는/
若入全無儲積罄약입전무저적경 수입이 없으면 저축금을 털고
圖生不劇使休徜 도생불극사휴상 생업이 바쁘지 않으면 쉬라하네/
如虛士罕于街內 여허사한우가내 비어있는 듯 네거리에도 인적 없어
笑我靑山出外場 소아청산출외장 푸른 산은 도시 밖에서 나를 비웃네/
可以棲遲容掩蔽 가이서지용엄폐 얼굴을 가려야만 살아갈 세상인가
需要面具欲循牆 수요면구욕순장 담장 따라 돌려 해도 마스크를 쓰라네/


二. 蒸韻(증운)

西來華疫是何徵 서래화역시하징 우한폐렴 몰려오니 이 무슨 징조인가
乏用民財處處繩 핍용민재처처승 백성들은 궁핍한데 곳곳이 묶여있네/
或望疎通而久阻 혹망소통이구조 연락 오기를 기다리나 끊긴지 오래고
相懼與見未呼應 상구여견미호응 만나기가 서로 두려워 응하지 못하네/
沽殽市酒無招飮 고효시주무초음 소주한잔 하자는 연 락도 없고
欲出家庭罕一憑 욕출가정한일빙 집밖을 나가고 싶어도 기댈 곳 없네/
圈域商街頹落蔽권역상가퇴락묵 상가 권역이 소리 없이 무너지니
需孤那譬畏於薨 경고나비외어훙 외로움 어데 비유할꼬 죽음보다 두렵네/

■주요어휘
▲華疫(화역)=중국의 여역. 우한폐렴. 중국어로는 冠狀病毒(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COVID-19)이라고 한다
▲棲遲(서지)=천천히 돌아다니며 자유롭게 놂. “정낭 아래지만, 깃들어 살만하다오[衡門之下, 可以棲遲〕(시경)”
▲招飮(초음)=술자리에 초청하다 ▲?(경)=비우다, 털다 ▲儲積(저자)=저축한 돈 ▲面具(면구)=마스크
▲?孤(경고)=의지할 곳이 없어 외로움 ▲圖生(도생)=겨우 살아감 ▲?=노닐상 ▲久阻(구조)=소식이 오래 막힘
▲罕(한)=드물다. 희소하다 ▲?(고요할 묵)= 고요하다. 조용하고 잠잠하다. 말을 아니 하다. 입을 다물다
▲循牆(순장)=담장을 따라 돌다(걷다) ▲薨(훙)=奄(엄). 죽을 훙 ▲沽?市酒(고효시주)=술과 안주를 사오다

■해설
중국에서 넘어온 여역(?疫)이 치성하여 사망자가 매우 많다.
밤낮으로 구제할 방책을 강구하고 방편을 세워 구료(救療)사업을 벌이고 있다.
어떻게든 사람들을 살려내고 집집마다 온전하도록 힘쓰고 있다.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운데 이 사태가 일어나자 일국의 재상은 일이 없으면 바쁘지 않으니 푹 쉬시고,
돈을 못 벌면 번 돈으로 살아가란다. 학교는 문을 닫고 문화·복지 체육시설 다 문을 닫아 대부분 갈
곳 없어 ‘집콕’신세다. 길거리에는 사람구경 힘들고, 유통업과 영세상들은 소리 없이 무너지고 있다.
코로나 불안으로 대인접촉을 피하는 세태이다. 만나기 두려운 가 인정이 매말았는지 식사 약속은
고사하고 만나자는 연락조차 없다. 담장을 따라 나다니려도 마스크 없이는 집 밖을 못 나간다.
친구모임도 무기한 미뤄졌다. 몸 거리는 넓히고 마음거린 좁히자고, 이른바 ‘사회적 거리두기[疑阻]’
캠페인이 벌어지는 바람에 요새는 삶이 삶이 아니다(生也非生). <해설 귀지헌 김순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