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보 김길웅 시인

제주방언, ‘삼춘’

by 동파 2018. 11. 30.
728x90


제주방언, ‘삼춘’


김길웅. 칼럼니스트


삼춘, 방언 가운데 가장 정겨운 호칭이다.
친족 계보를 허물고 촌수의 개념 따위도 무시하고 쓰이는 말, 삼춘.이전엔 그랬다.
문 밖에 나가 만나는 어른을 보면 “삼춘 어디 감수과?” 또는 “삼춘 어떵 지냄수과?”
 “삼춘 정심은 자십디가?” 인사치레하면서 마을 어른들을 보면 으레 삼춘이라는 호칭으로 불렀다.
실은 웃어른에게 삼춘 어디 가시냐고 묻는 것도 예절이 아니지만, 예절도 그 삼춘이라는 호칭 속에
다 녹아들었던지 허물하지 않아 그렇게들 불렀다.

제주 토박이로 시골에서 나고 자란 나는 이 삼춘이란 말을 개념 없이 써 온 세대에 속한다.
 남자삼춘, 여자삼춘 하며 성별 불문으로 남자 어른과 여자 어른에 통용되는 호칭이다.
아이가 어른 함자를 함부로 부를 수 없음에도 이 삼춘만은 예외였다.
아무개 삼춘 하고 이름 대신 어른을 불러도 되는 건 이 호칭만이 갖는 특권(?)이었는지 모른다.
삼춘만이 누리던 이 독특한 어법을 알아차린 것은 커서 어른이 된 후의 분별이었다.

친족 개념을 터득하고 나자 이 삼춘이란 호칭에 제주의 인정이 두껍게 묻어나 있음을 알고
새삼 놀랐다. 계보로 따지자면 삼촌이란 아버지 형제 항(行)이 아닌가. 아버지와 바로 형제면
백부·중부·숙부이고, 사촌이면 오촌당숙, 육촌이면 칠촌숙질간이 된다.
그러니 삼촌은 내게 아버지뻘인 근족 중의 근족이다.
삼촌의 자녀가 나에게 사촌이니 이보다 가까운 친족이 없다.

그런 가까운 촌수를 동네방네 모든 어른에게 갖다 붙였으니 이만저만 후한 관계 정립이 아닌 셈이다.
나중에 알고 놀라게도 됐다.
실제, 집안에서도 두루뭉수리 삼춘이라 부르던 그 호칭은 제법 유용했다.
촌수를 가려가며 어느 분에게는 몇 촌 삼춘, 또 어떤 분에게는 몇 촌 삼춘이라 하는 게 그리 간단한 일인가.
더욱이 그 많은 집안 삼춘들이 한자리에 모여 앉게 되는 명절날을 상상해 보면 이해가 되고 남을 일이다.
 자칫 촌수를 건드려 친족 사이 원근의 미묘한 감정을 자극할 빌미가 되는 수는 왜 없을까.
음복해 몇 잔 술 거나한 삼춘들이 눈 흘기는 구실이 되기도 했거늘.

나는 집안 삼춘들을 아버지처럼 깍듯이 대했다. 선친이 유복자라 고적했기도 하거니와 워낙 삼춘들
사이가 화목해 촌수를 가리지 않는 분위기에서 자란 영향이 컸을 것 같다.
열 몇 분이 더 되는 삼춘들이 한둘 빼고 대부분 아버지와 육촌이니 칠촌숙부뻘이었다.
시내에서 방학으로 내려가면 집안을 돌며 문안을 여쭈었다. 그냥 삼춘이라 부르며 지내다 보니 커서도
친근감이 그대로 유지됐던 것이다.

중학교 일학년 겨울이었다. 집안 삼춘 한 분이 내게 앉은뱅이책상을 만들어 줬던 일이 지금껏 기억에 생생하다.
그 겨울, 농한기라서 사정이 됐던 걸까.
우리 집에 와 버려진 낡은 문짝을 가지고 가더니 뒷날, 당신이 손수 만든 책상을 어깨에 메고 왔지 않은가.
 방바닥에 엎뎌 읽고 쓰던 내게 책상의 탄생은 상당한 감격이었다. 삼춘 하면, 기억 속에 떠오르는,
 복판에 구멍 뻥 뚫렸던 그 책상 그리고 그걸 내게 건네던 옛 삼춘의 한마디 말, “공부 잘하라 이.”
요즘 삼촌이라 부르는 소리가 안 들린다.
주변에 그렇게 부를 어른을 만나기도 쉽지 않거니와, 나더러 삼춘이라 부르는 애들도 없다.
삼춘이란 말이 사라지는 건 아닌지 모른다. 삼촌 아닌 ‘삼춘’. 참 따뜻한 말인데….

제주신보 2018년11월29일자


28836


'동보 김길웅 시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다’의 뜻, 제대로 읽기  (0) 2018.12.21
너무 앞서가고 있다.  (0) 2018.12.10
지식 냉장고  (0) 2018.11.23
겨울이 눈앞이다  (0) 2018.11.15
자율화 바람  (0) 2018.11.05